Loading...
팀 - 숏드라마,웹툰,웹소설 결합 숏폼 플랫폼

숏드라마,웹툰,웹소설 결합 숏폼 플랫폼


모집유형
고용형태
컴퍼니빌딩  |  C레벨
직군
창업
직무
CTO(Chief Technology Officer), CFO(Chief Financial Officer), CCO(Chief Creative Officer), CSO(Chief Strategy Officer), CMO(Chief Marketing Officer)
기술
개발, 마케팅, 투자, 기획, 영업, 운영
경력
경력무관
모집인원
4
근무조건
근무위치
대한민국, 대한민국
근무형태
오피스

내용

코코미디어 CocoReelShort


1. 숏픔 콘텐츠 트렌드
점점 짧고 부담없이 소비될 수 있는 콘텐츠에 대한 수요가 빠르게 증가하는 추세
- 2022
년 숏폼 시청 경험 56.5%
- 2023
년 숏폼 시청 경험 68.9%
인스타그램 릴스 이용률 57.9%
유투브 쇼츠 87.1%
틱톡 34.5%
하루 평균 시청빈도 평균 3
- 1
회 시청시 콘텐츠 개수 평균 12
시청 숏폼 콘텐츠 길이 평균 1

2. 중국 발 떠오르는 킬러 콘텐츠 – 숏폼드라마
점점 짧은 콘텐츠를 추구하는 최신 트렌드에 힘입어 2019년 중국에서 처음 탄생하여 초고속 성장중.

구분
영상포맷 - 회차당 1~2 80~100화로 구성
         - 
유저의 스피드한 시청 습관을 만족시키고 끝까지 시청유도.
과금체계 - 초반 10화 무료 시청후반부 과금 형식
         - 
회차별 약 1위안 과금기간제 상품(주결제월결제구매가능
인기소재 -  국내 3개 인기 소재 : 재벌로맨스코미디직장
         - 
킬링타임 용으로 복잡한 추리물 등은 부적합
주요 특징 빠른 내용전개 및 많은 반전 (평균 1분당 반전1)
          - 
다양한 소재 및 다소 유치함.
           
이용자들이 주인공의 정체를 얼른 밝혀 무시하던 사람들 교육 해주길 원함

‘20 ~ 23’ 
중국 숏폼 드라마 시장 규모
- ‘23’ 시청자수10.12억명
- ‘23
’ 일평균 시청시간 2.5시간

주요 업체 숏폼 드라마 사업 현황
웹소설 CP
- YUEWEN – 숏폼 드라마 제작 지금 조성을 통해 숏폼 드라마 제작투자
- COL : 숏폼 드라마 플랫폼 REELSHORT 북미 및 유럽지역 서비스 개시

숏폼 플랫폼
바이트댄스 : 숏폼드라마 전용 카테고리르 개설하여 숏폼 드라마 영상 개시.
콰이쇼우 : 숏폼 드라마 전용 카테고리 소극장’ 개설
토마토 : 바이트댄스에서 제작한 플랫폼으로 웹소설웹툰숏드라마드라마영화 한 플랫폼내에서 다양한 콘텐츠를 즐길수 있음. (무료)

영화사

화책영시 : 23년 숏폼 드라마 5편 제작을 시작으로 본격적으로 숏폼 드라마 제작 사업 개시

미국을 중심으로 전세계는 지금 숏폼 드라마 열풍 중
- DramaBox, DreameSsort, Flex TV, GoodShort, MoboReels. ReelShort, ShortMax .
- ReelShort : 
미국 앱스토어 전체 순위 3
- DramaBox : 11
개국에서 앱스토어 전체 순위 1, 29개국에서 앱스토어 엔터 순위1위 달성.
- ShortMax : 5
개국에서 앱스토어 전체 순위 1, 28개국에서 앱스토어 엔터순위 1위 달성.

지역별로 상이한 유저의 콘텐츠 취향결제율 및 결제액
지역 별 주요 유저층 및 인기소재
여성유저 비율
영어권 93%, 동남아 66%, 한국 및 일본 77%
주요 연령층
영어권 25~45동남아 25~45한국 및 일본 35~55
인기소재
영어권 1위 늑대인간, 2위 가학적사랑, 3위 재벌
동남아 1위 여성 성장물, 2위 복수, 3위 도련님
한국 및 일본 1위 재벌로맨스코미디직장

지역 별 유저 결제율

한국5%, 일본20%, 북미, 25%, 유럽10%, 동남아10%, 기타5%
지역별 앱 다운로드당 수익(RPD)
북미 – 4.7 USD
유럽 – 2.3 USD
중동 – 1.1USD
동남아 – 0.7USD
글로벌 평균 - 2USD

한국 숏폼 드라마 시장의 잠재력

웹툰,웹소설의 실사화 버전이자 숏폼 드라마만의 빠른 내용전개와 통쾌한 기승전결 등 특징으로 국내 웹툰,웹소설 시장 규모를 크게 웃돌 것으로 기대.

한국 웹툰,웹소설 시장
2020
 2 500
2021
 3 1000
2022
 3 8290
2023
 4 2000
2023
년 활성 MAU  2000만명

한국 숏폼 드라마 시장
예상 시장 규모 5조원
예상 활성 MAU 3000

한국 숏폼 드라마 플랫폼의 문제점.
1. 주기적인 콘텐츠 공급 X
2. 
도파민이 분비되는 자극적인 영상 및 궁금하게 만드는 요소X
3. 
콘텐츠 전략 및 방향성 X
4. ‘
숏폼’ 드라마가 아닌 드라마 ’ 을 만들고 있음.
느린 내용전개 및 반전이 없음.
중국에서 인기를 끌었던 숏드라마에 대해 이해도가 없음.
높은 영상미높은 제작비고객 흡입력은 낮음.


 

5. 중국 작품을 수급한다해도 어색한 자막 작업 및 낮은 UX
6. 
콘텐츠 무단 유통저작권 X 심사X

코코미디어란?
회차당 1~3분 분량의 숏폼 드라마영화예능웹툰웹소설 등을 한 플랫폼에서 볼수 있는 종합 숏폼 엔터 플랫폼.

WHY 
코코미디어?
1. 
마케팅 비용 최적화의 플랫폼 비즈니스 모델
다양한 콘텐츠를 한 플랫폼에서 O
코코툰의 웹툰,웹소설을 결합.
코코툰 웹툰,웹소설 약 1000여개 보유.
한 플랫폼에서 숏드라마,웹툰,웹소설 을 사용할 수 있음.

주기적인 콘텐츠 공급 O
초반 100여개 영상 수급하여 공개.
매달 20여개 영상 추가 공개.

중국 숏폼을 잘 이해하여 제작한 한국 콘텐츠 제작.
스토리 IP는 중국에서 성공한 IP를 사용하거나성공한 IP를 비슷하게 만들어 제작.
중국 제작팀으로 구성하여 제작.
배우만 한국 배우 사용하여 한국,일본 및 글로벌 배급.

리텐션 증대 요소 O
플랫폼내에 숏드라마뿐 아니라 웹툰,웹소설 등 다양한 볼거리가 있음.
영상 시청시 모든 회차수 마다 하단 배너에 광고가 노출되며영상 10화를 시청할 때 마다 30초 영상광고가 나오며영상을 끝까지 시청하면 다음 10화를 무료로 볼수 있음.

영상을 많이 시청할수록 광고비가 늘어나고 발생한 광고비의 10분의 1을 포인트로 리워드 지급함.
포인트를 모아서 코코릴숏’ 내에 제품 구입 가능함.
- ‘
코코릴숏’ 광고 입점한 제품은 코코릴숏 플랫폼 내에서 판매 가능.
이용유저가 새로운 이용자를 초대하면 포인트를 지급하여 계속하여 친구초대 유도하고 새로운 유저 도입.

콘텐츠 전략 및 방향성 O
중국S급 여성향 콘텐츠 위주로 수급.
자체 제작 진행하며 셀럽 회사 소속으로 계약 및 커머스 사업연계,
영상을 이용자들이 무료로 볼 수 있도록 하고 추가로 영상 광고 수익의 일부를 포인트로 리워드를 해줌으로서 이용자들은 계속해서 숏드라마를 시청하고 출연한 배우는 더 유명해지고 팔로우가 많아지며유명해진 셀럽은 코코미디어의 소속이기 때문에 추후 커머스 판매로 연계했을 때 브랜드 홍보판매력 상승.
한국에서는 광고수익 및 커머스 판매가입자수 많아지면 추후 월 결제로 전환.
결제력이 높은 일본 및 글로벌에서 영상 수익.

전문적인 콘텐츠 소싱 및 현지화

릴숏, COL, 드라마박스숏맥스 등 중국 현지 플랫폼에서 잘된 영상들을 수급하며 현지화.
기존 웹툰,웹소설 회사를 하고있고 해외 웹툰 웹소설을 이미 500여개 현지화 한 경험이있어 고퀄리티 현지화가 가능함.

높은 흡입력의 진짜 숏폼’ 드라마 서비스
중국에서 성공한 IP스토리를 그대로 사용하여배우만 한국 셀럽으로 바꿔 다시 촬영.
최근 ShortMax 에서 일본판으로 제작된 영상이 2일만에 한화 25억 매출이 발생함.
중국에서 성공한 IP스토리를 그대로 사용하였으며배우만 일본 셀럽으로 바꿔 다시 촬영.


코코미디어 글로벌 수익모델
콘텐츠 시청 결제 수익 (일본글로벌 버전)
콘텐츠 광고 수익 (한국)
콘텐츠 PPL 수익
추후 브랜드 커머스 판매 및 PB상품 개발.

Go To Maret 전략
Who

콘텐츠 별 타겟 유저층 상이
사실상 전 연령층이 타겟 유저

20~50대 여성 유저가 주요타겟

What
베타 버전 출시 시중국 숏폼 콘텐츠 한국,영어 자막 버전 100편 서비스 예정.
이후 매달 20여개 콘텐츠 릴리즈.

Why
남녀노소 언제 어디서나 부담없이 즐길 수 있는 종합 숏폼 콘텐츠 제공.

Where
한국 시장 빠르게 선점.
이후 동남아남미북미유럽 등 글로벌 진출

How
틱톡유투브숏츠인스타 등 다양한 눈를 통한 홍보 마케팅.
- meta 
마케팅.
자체제작 영상 출연 셀럽으로 마케팅.
아직까지 성공한 숏드라마가 없는 한국 초기시장에 중국IP로 가장먼저 성공한 IP제작하여 투자사 이목 집중.

When
- 25
년 코코릴숏’ 1월 베타 버전 출시.
- 25
 4분기 글로벌 진출.



숏폼 플랫폼은 중국 시장을 시작으로 글로벌로 확장되고 있습니다.
드라마박스, 숏맥스 , 릴숏, 등이 대표적이며 저희는 뛰어난 실력, 빠른 학습능력or열정, 트랜디 한 감각의 인재들로 구성하고 목표를 함께 이루어 나가고 싶습니다.

현재 맴버 구성원.
CEO 노경호 91년생,
전 주식회사 나나엔터테인먼트 CEO
전 주식회사 피멧 CEO
현 주식회사 코코미디어 CEO  (코코툰 플랫폼 운영, 네이버 카카오에 웹툰 50여개 연재, 웹소설 400여개 연재,)


현 저스트미라클 기획이사

신동엽이승기 등 한국 유명 연예인50여명 참여 모금 기부 단체.
전반적인 모금 판매 제품 및 기획 판매 및 모금 총괄.

김광국 CFO
- 현 ShortMax 일본 지사 CEO (현 숏폼드라마 플랫폼 글로벌 1위.)
- 숏드라마 제작사 와가문화 CEO (숏드라마 50여편을 제작하였으며 최근 제작한 작품 2일만에 매출25억 달성.)


이정연 91년생 COO

전) 해피ERA 영화제작유한회사 본부장

21세기 Wink 이정연제작사 설립

중국작 <에게해><용과 사랑할때>

한국작 <성형수><상속자들>

<8월의 크리스마스> 중국리메이크 제작

콰이칸, 텐센트, 비리비리 등 웹툰 드라마화 기획 경험 다수

종횡소설,화성소설등 중국 해외 소설 IP회사 협력 경험 다수

현) 코코미디어 COO


CTO 신은철 87년생 (코코릴숏 개발중.)
한국결제 네트웍스 V-CAT
롯데글로벌로지스 SMAPP
우체국 당일배송 시스템
LCC 
항공 예약 시스템 (진에어,이스타,제주항공,티웨이)
카카오KAKAO 게임순위 1위 아쿠아팡팡 앱 개발.
현 코코미디어 CTO


코코릴숏의 CTO가 되실분 환영합니다.


개발, 마케팅, 디자인, 커머스, 기획 운영 등 열정과 재능이 가득한 초기 맴버를 모집합니다.
주주로서 같이 회사를 이끌어나갈수 있는 동료를 모집합니다.

robin@cocomedia.co.kr
01047086277

자신있으신분은 메일이나 번호로 연락을 주시면 직접 만나서 이야기 나누고 싶습니다. 


접수기간
시작일
2024-11-21
마감일
모집시까지

마감일은 기업 사정으로 인한 조기마감 등 변경될 수 있습니다.
코코릴숏
콘텐츠
소개

숏폼드라마,웹툰,웹소설,커머스 결합 플랫폼.

위치
글로벌, 대한민국
팀 단계
상용화 단계
설립일
2024-11-21

메시지 보내기